◆ SPRING BOOT/정리

[SpringBoot] Handler Mapping, 응답 그리고 마지막 전체적인 맥락(스프링 프레임워크)

쿠키린 2023. 2. 14. 10:57

# Handler Mapping : 요청 주소에 따른 적절한 컨트롤러 요청 

 

GET 요청 => 

- 해당 주소 요청이 적절한 컨트롤러의 함수를 찾아서 실행한다.

 


# 응답

html 파일을 응답할지 Data를 응답할지 결정해야 하는  html파일을 응답하게 되면 ViewResolver가 관여하게 된다.

하지만 Data를 응답하게 되면 MessageConverter가 작동하게 되는데 메시지를 컨버팅할 때 기본전략은 JSON이 된다.

(Data를 리턴할때 @ResponseBody)

✨응답할때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해

- data를 리턴할지

- html를 리턴할지

 


 

[정리] 전체적인 맥락

스프링 프레임워크

① 톰캣 실행 시( 아직 request 요청 아님 )

ㄴ 로딩이 되고 문지기가 해야할 일을 읽음.

 

② 문지기 할일이 많아 분배를 함. 이때 ContextLoaderListener 생성되면서 

 

ContextLoaderListener 가 root-context.xml 읽는다.

ㄴ ④ (보통 DB정보이며 메모리에 띄워둔다)

 

⑤ 다 실행이 되고 나면, 사용자한테서 request요청이 들어온다.

 

⑥ DispatcherServlet 생성된다.(⑦servlet-context.xml파일에 의해서 읽힌다.)

ㄴ웹과 관련된 일 메모리에 띄우고 주소분배를 해준다.

 

⑧응답할때 Data로 보낼지, HTML 파일로 보낼지 

 

이 맥락은 프로젝트 셋팅할때만 해.

거진 비즈니스 로직을 많이 하지


참고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EA%B0%9C%EB%85%90%EC%A0%95%EB%A6%AC/unit/97749

 

학습 페이지

 

www.inflear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