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헤더

[HTTP] 캐시1

쿠키린 2023. 1. 23. 18:46

쿠키와 캐시 차이??

간단히 생각하면 쿠키는 서버의 필요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저장하는 데이터,

캐시는 클라이언트 자체에서 페이지 로드를 효율적으로 하려고 저장하는 데이터

물론 캐시도 서버에서 지정한 캐시 정책을 준수하다.

 

 

캐시가 없을 때

-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아도 계속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 인터넷 네트워크는 매우느리고 비싸다.

- 브라우저 로딩 속도가 느리다.

- 느린 사용자 경험

 

캐시 적용

- 캐시 덕분에 캐시 가능 시간동안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비싼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 브라우저 로딩 속도가 매우 빠르다.

- 빠른 사용자 경험.(들어갔던 웹 브라우저를 다시 들어가 빠르게 열리는 경험있지? 캐시 때문이야)

 

캐시 시간 초과

다시 요청하며

받은 데이터를 가지고

기존 데이터를 지운 후

다시 캐시를 덮어 씌우면서 초기화

- 캐시 유효 시간이 초과화면,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다시 조회하고, 캐시를 갱신한다.

- 이때 다시 네트워크 다운로드가 발생한다.


BUT!

캐시 유효시간이 초과해서 서버에 다시 요청하면 다음 두 가지 상황이 나타난다.

1. 서버에서 기존 데이터를 변경함.(상황 : 내용이 달라졌다)

2. 서버에서 기존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음.(상황 :  기존 내용이랑 같다?!!!)

 

 

다음장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