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웹개발 블로그

[4일차] 0409 리눅스 본문

◆정보보안/리눅스

[4일차] 0409 리눅스

쿠키린 2023. 4. 9. 13:37

route

ㄴ 루트에서 나온 단어 : 루트는 경로를 의미하잖아

ㄴ LAN에서는 네트워크 주소로 경로를 판단

ㄴ 내부에서는 MAC주소로 인식한다.(IP주소를 ARP프로토콜을 통해 MAC주소 변환됨)

 

(늦게 일어나서,, 첫번째 강의 보면서 더 적자)

 

 

 


네트워크와 시스템의 MAC 주소 정보를 보이는 - arp

ARP는 ARP 테이블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호스트 A가 외부 WAN의 호스트 C를 찾아갈 때에는 IP주소에서 호스트 C의 네트워크 주소만 참조해서 라우터가 경롤ㄹ 결정 한 뒤 타켓 라우터에게 보내면 타켓 라우터가 호스트 C의 MAC 주소를 arp 브로트캐스트로 알아내어 연결시켜 준다.

=> 보안에서 해커가 자신을 게이트웨이 등으 mac 주소로 위장에서 오가는 패킷을 수신하므로 mac주소 변경관리가 중요하다.

BGP : 경로를 찾아줌.


 

[두번쨰 시간]

 

각 호트트의 NIC가 가지고 있는 MAC주소는 하드코딩 되어 있지만 변경 가능하다.

ㄴ 서버에서 static을 걸어서 mac주소 변경 못하게하는 방법도 있다.

 

 

리눅스 커널에서 

커널종류 특성 핵심
모듈라(Modular) 시스템이 실행되는 동안 커널이 참조하는 디렌터리에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이진파일인 외부에(/lib/modules 디렌터리) 모듈로 저장한 뒤 필요 시 로드/언로드 해서 사용하는 방식. 모듈은 매우 작은 크기로 분할되어 있어서 시스템에 로드/언로드하는 시간이 빠르고 빌드와 유지가 간편하다.
리눅스의 디폴트 커널 방식이다. 그래픽, 멀티미디어, 그리고 오피스 프로그램 등 용량이..
필요시 로드/언로드 해서 사용하는 방식
(저용량)
모노리씩(Monolithic)   전체 커널을 한번에 빌드 한뒤 모든 모듈을 일괄적으로 로드해서 사용하는 방식
(고용량)

ㄴ여기서는 /lib/modules, lsmod, insmod, rmmod... 등의 명령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커널의 환경설정에는 

-Text 방식인 make config, TUI 방식인 make menuconfig, 그리고 GUI 방식인 make xconfig이 있는데, 위의 세가지 방법에서 그래픽으로 설정하는 make xconfig 방식이 모듈 특성에 대한 설명을 보거나 선택을 쉽게 해주므로 이 방법을 권한다.

- 모듈의 의존성을 보는 make dep와 이전의 오브젝트(Object) 파일을 제거하는 make clean이 있다. 어느 경우든지 커널을 설정해주고 저장하면 숨긴 파일 .config 이름으로 저장된다.

 

컴파일(Compile)은

하드웨어적인 커널을 올리거나 조절하는 커널 컴파일과

여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묶어서 환경을 지정해서 설치하는 소프트웨어 컴파일이 있다.

(/.configure에서 환경설정을 해주고 make하고 이어서 make install 과정으로 진행한다.)

=> 어느 패키지의 종속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면서 설치되는 yum으로 하나의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으면 별도로

Googling해서 패키지를 다운받은 뒤 개별적으로 설치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압축을 풀고 보았을 때 configure라고 파일이 있으면 소프트웨어 컴파일적으로 설치해 주어야 한다.

=> 일반적으로 컴파일이라고 하면 사람이 쓴 프로그램 언어를 컴퓨터가 인식하는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것을 말한다.

 

 

🔽테스트 해보장

wget http://www.dest-unreach.org/socat/download/Archive/socat-1.4.2.0.tar.gz

 

어떤 패키지를 다운받아도 그 안에는 거의 대부분 README 파일이 있으므로 읽어보고 시키는 대로하면 해당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따.( 사용 설명서 )

 

 

 

 


[3번째수업]

X, X.org, X.11 등은 Graphic과 관련된 모듈인데

원래 고전 게임이나 PlayStation 등에서 조이스틱으로 콘솔에 그래픽을 넣어서 사용하게 하는 모듈이다.

리눅스/유닉스의 런레벨 3에서(검은 창) 외부 모듈을 이용해서 그래픽을 실행하게 해준다.

ㄴ 이것때문에 x가 중요한 것.

=> 완전히 GUI 데스트탑이 되게 한 것이 GNOME, KED이다.

=> 검은창은 명령어를 모르면 꿈쩍이지도 않는데, 그래픽이 탑재되면 마우스를 통해 움직일 수 있잖아?

 

 

allow = 얼라우 (얼로우x)


 

192.168.100.131

255.255.255.0

192.168.100.2

 

192.168.100.2

168.126.63.1


 

 

기존 vmware 삭제하기(vmware17설치(기존거 삭제) <-  3번쨰 강의 이어서 찍은 강의 참고)

ㄴ 제어판 - vmware workstation


[4번째수업]

 

[5번째수업]

 

[6번째수업]

'◆정보보안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일차] 0416  (0) 2023.04.16
[5일차] 0415  (0) 2023.04.15
[3일차] 0408 강의 + 리눅스  (0) 202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