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스크립트 인라인
- 프로젝트 클린
- cmd
- select
- Test 룸북 사용하기
- 리눅스
- 설정
- 개발시작전 자세
- BindingResult
- linux
- 함수 인자값 id
- 시퀀스 조회
- 스프링부트
- 룸북
- Java
- 명령어
- #{..}
- Intellij
- 추천 사이트
- StringUtils.hasText
- 타임리프와 스프링
- 다른사람 프로젝트 수정전 가져야할 자세
- js
- 순서 보장
- 추천 프로그램
- 비밀번호 변경 명령어
- 하모니카 OS 5
- JSON
- 타임리프
- it
- Today
- Total
목록◆Redis (7)
웹개발 블로그
1. 쿠키 또는 세션https://velog.io/@kimhalin/%EC%A1%B0%ED%9A%8C%EC%88%98-%EA%B8%B0%EB%8A%A5-%EA%B5%AC%ED%98%84%ED%95%98%EA%B8%B0 조회수 기능 구현하기 - 쿠키를 사용한 중복 검사 (with Spring Boot) velog.io 2. 레디스https://dakafakadev.tistory.com/257 Redis를 이용하여 조회수 동시성 이슈 해결하고 Jmeter로 테스트해보기회사에서 사용하는 기술스택과는 다른 기술스택을 사용하고자 개인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그중 조회수 관련하여 동시성 이슈를 만들어 해결한 경험이 있어서 정리한다.문제public DataResponse findakafakadev.tistory.com

참조 https://velog.io/@soo-ni/Javascript-debug-with-Intellij Javascript debug with Intellijjavascript debug with Intellijvelog.io ⏬ ... 클릭 --remote-allow-origins=* 실행순서1. 스프링 프로젝트 실행2. js 디버깅 실행(2. 실행 시 열린 화면에서 진행해야 함)ㄴ 프론트, 백 둘다 디버깅 가능해짐.

서버가 터지면 어떡하지?서버에서는 어느정도의 요청을 건딜 수 있는지 부하 테스트를 해봐야 한다.- 많은 트래픽인 것처럼 서버에 요청 ㄴ 여기서 서버가 죽는지? 서버가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 = Throughput이라고 부른다.- 단위는 TPS(Transaction Per Seconds, 1초당 처리한 트랜재션의 수)를 많이 활용ㄴ 만약 내가 만든 서비스가 1초에 최대 100개의 API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면? ㄴ 이 서비스의 Throughput은 100 TPS라고 얘기한다.

최근 백엔드 개발자 채용 공고에 자주 등장하는 스펙대용량 트래픽NoSQL이 역량이 서비스가 점점 고도화 될 수록 빼놓을 수 없는 역량이기 때문이다. 이 2가지 역량을 채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Redis이다. 1. 대용량 트래핑을 처리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이 Redis의 캐싱(Caching)기능 2. Redis는 NoSQL의 일종 공고 자격요건 / 우대사항 텍스트1. 대용량 트래픽 서비스 설계/개발/운영 경험 보유 2. MySQL, Redis 개발 역량을 보유하신 분 3. 대용량 트래픽을 고려한 서버 설계 4. NoSQL(Redis, MongoDB, Elasticsearch) 사용 경험

사용사례캐싱세션 관리실시간 분석 및 통계메시지 큐자리공간 인덱싱속도제한실시간 채팅 및 메시너무 많다... 하나씩 배워보자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캐싱부터 알아가보자....💥캐싱 - 데이터 조회 성능 끌어 올리기.

Redis란?Redis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엄청 빠른 NoSQL 데이터베이스 이다.- NoSQL 데이터베이스를 풀어서 얘기하자면 Key-Value의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keyvalueseoul02 장점?레디스의 장점은 많다.그 중 1가지만 확실하게 기억하자.레디스는 인메모리(in-memory) = '메모리 안에'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한다.그래서 데이터의 처리 성능이 굉장히 빠르다.RDBMS의 DB는 대부분 디스크(Disk)에 데이터를 저장한다.Redis는 메모리(RAM)에 데이터를 저장한다.디스크(Disk)보다 메모리(RAM)에서의 데이터 처리속도가 월등하게 빠르다.이 때문에 Redis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RDBMS에 비해 훨씬 빠르다.

설치 경로https://ittrue.tistory.com/318 [Redis] 윈도우10 환경에서 레디스 설치하기Redis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msi 확장자의 Redis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https://github.com/microsoftarchive/redis/releases Releases · microsoftarchive/redis Redis is an in-memory database thatittrue.tistory.com 로컬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를 편하게 보기 위해서 설치했습니다. + 이중화 서버인경우 한 서버에 설치하여 경로 지정하여 같이 사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