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웹개발 블로그

[디자인패턴] MVC 패턴 본문

◆SPRING/디자인패턴

[디자인패턴] MVC 패턴

쿠키린 2024. 8. 13. 13:26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패턴은 애플리케이션을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분리하여 코드의 모듈화와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만듭니다.

1. Model (모델) - DB와 상호작용 및 비즈니스 로직

  • 역할: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데이터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
  •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
  •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
  • 데이터 처리 로직 등
  • 기능:
    •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저장합니다.
    • 비즈니스 규칙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 상태 변경을 컨트롤러에 알리거나, 뷰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2. View (뷰) -  UI

  • 역할: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요소를 담당하며, 모델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 HTML, CSS, JavaScript 등의 UI 코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기능:
    •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전달합니다.
    • 모델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 주로 프론트엔드와 관련된 부분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외형을 담당합니다.

3. Controller (컨트롤러) - 중개자

  • 역할: 모델과 뷰 사이의 중개자로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그에 따라 모델을 갱신하며, 뷰에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반영합니다.
  • 기능:
    •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들이고 처리합니다.
    • 비즈니스 로직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 모델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뷰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합니다.

MVC 패턴의 동작 흐름

  1. 사용자 요청: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특정 액션(예: 버튼 클릭, 링크 클릭)을 수행하면, 이 요청이 컨트롤러에 전달됩니다.
  2. 컨트롤러 처리: 컨트롤러는 해당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모델에 요청하거나, 모델의 상태를 변경합니다.
  3. 모델 업데이트: 모델은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합니다.
  4. 뷰 갱신: 컨트롤러는 모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뷰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합니다.
  5. 사용자에게 응답: 뷰는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된 UI를 표시합니다.

MVC 패턴의 장점

  • 유지보수 용이성: 코드가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쉽게 찾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재사용성: 모델, 뷰, 컨트롤러 각각이 독립적이므로, 재사용이 용이합니다.
  • 테스트 용이성: 각 컴포넌트가 독립적이기 때문에 단위 테스트와 같은 테스트 작업이 간편해집니다.

MVC 패턴의 단점

  • 복잡성 증가: 작은 프로젝트에서는 MVC 패턴이 오히려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초기 설정 비용: 초기 설정과 컴포넌트 간의 연결 작업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MVC 패턴은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특히 규모가 크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며, 개발 과정에서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