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ava
- 비밀번호 변경 명령어
- 자바스크립트 인라인
- 추천 프로그램
- 순서 보장
- cmd
- js
- 타임리프와 스프링
- #{..}
- 시퀀스 조회
- 추천 사이트
- it
- 다른사람 프로젝트 수정전 가져야할 자세
- StringUtils.hasText
- select
- 리눅스
- 설정
- 타임리프
- linux
- 하모니카 OS 5
- BindingResult
- 룸북
- 스프링부트
- 프로젝트 클린
- Intellij
- 명령어
- 함수 인자값 id
- JSON
- Test 룸북 사용하기
- 개발시작전 자세
Archives
- Today
- Total
웹개발 블로그
[SpringBoot] Handler Mapping, 응답 그리고 마지막 전체적인 맥락(스프링 프레임워크) 본문
# Handler Mapping : 요청 주소에 따른 적절한 컨트롤러 요청
GET 요청 =>
- 해당 주소 요청이 적절한 컨트롤러의 함수를 찾아서 실행한다.
# 응답
html 파일을 응답할지 Data를 응답할지 결정해야 하는 html파일을 응답하게 되면 ViewResolver가 관여하게 된다.
하지만 Data를 응답하게 되면 MessageConverter가 작동하게 되는데 메시지를 컨버팅할 때 기본전략은 JSON이 된다.
(Data를 리턴할때 @ResponseBody)
✨응답할때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해
- data를 리턴할지
- html를 리턴할지
[정리] 전체적인 맥락
① 톰캣 실행 시( 아직 request 요청 아님 )
ㄴ 로딩이 되고 문지기가 해야할 일을 읽음.
② 문지기 할일이 많아 분배를 함. 이때 ContextLoaderListener 생성되면서
③ ContextLoaderListener 가 root-context.xml 읽는다.
ㄴ ④ (보통 DB정보이며 메모리에 띄워둔다)
⑤ 다 실행이 되고 나면, 사용자한테서 request요청이 들어온다.
⑥ DispatcherServlet 생성된다.(⑦servlet-context.xml파일에 의해서 읽힌다.)
ㄴ웹과 관련된 일 메모리에 띄우고 주소분배를 해준다.
⑧응답할때 Data로 보낼지, HTML 파일로 보낼지
이 맥락은 프로젝트 셋팅할때만 해.
거진 비즈니스 로직을 많이 하지
참고
학습 페이지
www.inflearn.com
'◆ SPRING BOOT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션] 주의사항 (0) | 2023.04.30 |
---|---|
[SpringBoot] 소켓, HTTP (0) | 2023.02.14 |
[SpringBoot] DispatcherServlet (0) | 2023.02.14 |
[SpringBoot] FrontController 패턴 , RequestDispatcher (0) | 2023.02.14 |
web.xml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