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타임리프
- js
- 자바스크립트 인라인
- 다른사람 프로젝트 수정전 가져야할 자세
- Java
- 개발시작전 자세
- 타임리프와 스프링
- BindingResult
- 프로젝트 클린
- Test 룸북 사용하기
- select
- 추천 사이트
- it
- 설정
- 룸북
- JSON
- 스프링부트
- StringUtils.hasText
- 리눅스
- 순서 보장
- 시퀀스 조회
- cmd
- 추천 프로그램
- 함수 인자값 id
- Intellij
- 비밀번호 변경 명령어
- 명령어
- linux
- #{..}
- 하모니카 OS 5
Archives
- Today
- Total
웹개발 블로그
[SpringBoot] 소켓, HTTP 본문
Socket :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는것.
소켓 통신을 할때는
쓰레드 개념이 잡혀 있어야 해.
쓰레드가 있으면
timeSlice를 통해 시간을 쪼개서
동시에 동작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사실 동시 동작이 아닌 시간을 쪼개서 동작하는 거지 = 소켓 통신)
계속 연결이 되어있기에
사실상 부하가 크지
단점) 소켓들이 10명에서 1000명으로 늘어난다면? 부하가 늘어나
웹 통신 - HTTP ( 무상태 )
ㄴ 연결을 지속하지 않고 요청을 보내고 응답이 오면 연결을 끊어버린다.(부하가 적음)
ㄴ 문서를 전달하는 통신(팀 버너리스 창시자 : 문서전달 목적으로 탄생함 )
ㄴ 소켓 통신 기반
장점) 소켓에 비해 좋은 점은 한번 연결되고 나서 끊어주니 부하가 적음.
단점) C 입장에서는 a.txt를 보낸 A와 c.txt를 보낸 A를 구분 하지 못한다. 🔽
참고
학습 페이지
www.inflearn.com
'◆ SPRING BOOT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t] 스프링 부트 정리 (2) | 2024.10.14 |
---|---|
[세션] 주의사항 (0) | 2023.04.30 |
[SpringBoot] Handler Mapping, 응답 그리고 마지막 전체적인 맥락(스프링 프레임워크) (0) | 2023.02.14 |
[SpringBoot] DispatcherServlet (0) | 2023.02.14 |
[SpringBoot] FrontController 패턴 , RequestDispatcher (0) | 2023.02.14 |